본문 바로가기

인-무브 Translation/라클라우 읽기5

포퓰리즘: 그 이름 속에는 무엇이 있는가? 포퓰리즘: 그 이름 속에는 무엇이 있는가?  에르네스토 라클라우번역: 현우식(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   *『Populism and the Mirror of Democracy』(Verso, 2005)에 수록된 에르네스토 라클라우의 논문 「Populism: What’s in a Name?」을 번역한 글입니다.   모든 정의는 정의되는 대상에 의미를 부여하는 이론적 격자(grid)를 전제로 한다. 정의(definition)라는 개념의 뜻이 그러하듯이 대상의 의미는 정의된 용어와 그러한 정의가 배제하는 다른 것들 사이의 차이에 의해서만 설명될 수 있다. 이는 다시 이러한 차이들을 사고할 수 있게 하는 지형(terrain)을 전제로 한다. 우리가 어떤 운동, 이데올로기, 정치적 실천을 ‘포퓰리즘적’이라고 말할 .. 2024. 10. 11.
담론 이론 vs 비판적 실재론 담론 이론 vs 비판적 실재론 대담: 에르네스토 라클라우 x 로이 바스카 번역: 현우식(제주대학교 사회학과 박사수료)  1998년 3월 에섹스(Essex) 대학에서 열린 토론회의 편집본을 번역한 글입니다. 이 편집본은 「Journal of Critical Realism」Volume 2, Isssue 2(1998)에 수록되었습니다. 토론자인 에르네스토 라클라우(Ernesto Laclau)와 로이 바스카(Roy Bhaskar)에게는 각 30분의 발언시간과 10분의 토론시간이 주어졌습니다. 토론 후 이어진 긴 대화는 생략했습니다.  에르네스토 라클라우: 담론 이론(discourse theory)과 비판적 실재론(critical realism) 사이의 이론적 접근이 어떻게 다른가를 명확하게 설명하는 것은 어려운.. 2024. 3. 26.
라클라우와의 인터뷰(2/2) 라클라우와의 인터뷰(2/2)  (계속)  인터뷰어: 데이비드 하워드(DH)인터뷰이: 에르네스토 라클라우(EL)번역: 현우식  DH: 당신의 작업에서는 포퓰리즘이라는 주제가 반복됩니다. 추측컨대 여기에는 라틴아메리카 정치에 대한 오랜 경험과 참여가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당신의 작업에서 포퓰리즘이라는 주제는 존재적(ontic) 차원보다는 훨씬 더 존재론(ontological) 차원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포퓰리즘 이성에 대하여』에서 당신은 모든 정치 이론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중요한 특징으로서 포퓰리즘 이론을 설명합니다. 이 설명은 몇 가지 비판을 불러일으켰지만, 제 생각에는 대부분의 비판은 당신의 개입이 갖는 존재론적 성격을 이해하는 데 실패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몇 가지 묻고 싶은 질.. 2024. 2. 22.
라클라우와의 인터뷰(1/2) 라클라우와의 인터뷰(1/2)   인터뷰어: 데이비드 하워드(DH)인터뷰이: 에르네스토 라클라우(EL)번역: 현우식  *데이비드 하워드(David Howarth)의 『Ernesto Laclau: Post-Maxism, populism and critique』(Routledge, 2014)에 수록된 에르네스토 라클라우(Ernesto Laclau)와의 인터뷰를 번역한 글입니다. 라클라우의 제자이기도 한 하워드는 라클라우 사상의 핵심 개념인 담론, 적대, 헤게모니, 정치의 우위 또는 정치적인 것을 중심으로 논쟁적인 주제들을 거침없이 풀어놓습니다. 라클라우는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의 작업에 대해 제기된 여러 의문에 대해 응답합니다.  DH: 이 책에 수록된 장들은 지난 35년여간 당신의 작업이 이룩한 주요 혁신을 .. 2024. 2. 6.
에르네스토 라클라우 <포퓰리즘 이성에 대하여> 서문 이승원 선생님께서 에르네스토 라클라우의 책 에 실린 서문을 번역해 주셨습니다. 출판사에서 출판을 검토하고 있는 책이니 웹진 에 올린 서문의 번역문은 인용을 삼가해 주시기 바랍니다. 번역문의 게시를 허락해 주신 이승원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다음 페이스북 페이지에서 영어 원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편집부) https://www.facebook.com/100000043129060/posts/5495798327098217/?d=n     에르네스토 라클라우포퓰리즘 이성에 대하여 (On Populist Reason, 2005, Verso) 서문  번역 이승원 | 서울대학교 아시아도시사회센터 전임연구원  이 책에서 다루는 주요 쟁점은 집단적 정체성 형성의 본질과 논리이다. 내 전체 접근 방식은 사회 분석의 기.. 2022. 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