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무브 Writing/인-무브 대담7

인문사회 학술생태계의 파국과 미래 인문사회 학술생태계의 파국과 미래  대담자: 박치현(진행, 본지 편집위원장),김강기명(철학박사,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김지수(문화연구자),김현준(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 대학강사, 사회학/기술문화연구자),배세진(현대 프랑스철학 번역가, 연세대 커뮤니케이션 대학원 강사),연혜원(사회학과 대학원 박사수료)  *이 대담은 13호에 실렸던 글입니다.   박치현(사회): 기획 좌담회의 취지와 방향은 학문후속세대, 요즘에는 이미 학적인 지식을 생산하고 있다는 의미에서 ‘학문현재세대’라고도 부르는데요, 바로 이들의 관점에서 ‘인문사회 학술생태계의 현실 진단과 대안’을 모색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인문사회학 후속세대 연구자들이 대학 바깥에서 연구를 하는 경우도 많음을 고려하면, 이때 학술생태계의 영역.. 2024. 11. 5.
장애인 대중 주체의 형성을 위하여: 전장연 박경석 인터뷰 (3/3) 노들장애인야학 박경석 활동가 인터뷰정리: 노의현, 장희국, 정정훈 * 본 인터뷰는 2017년도에 만들어진 「 한국 '진보적 인권운동'의 역사에 대한 인권활동가 인터뷰 자료집: 1993년부터 2012년까지의 시기를 중심으로」에 수록된 내용입니다. [진보적 장애운동의 원칙과 투쟁] Q. 노들은 1999년 전장협과 한국 DPI와의 통합에 반대하며 독립하던 때부터 현재까지 장애인 대중투쟁, 현장투쟁을 중요시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 명망가들을 통한 로비나 협상보다 현장 중심, 대중 중심의 장애운동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현장투쟁을 중시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 제가 생각하는 것은 ‘장애인들의 역량강화’ 정도인 것 같아요. 장애 당사자들이 열심히 공부하고 배워서 자신의 힘을 만들어야 한다.. 2022. 5. 13.
장애인 대중 주체의 형성을 위하여: 전장연 박경석 인터뷰 (2/3) 노들장애인야학 박경석 활동가 인터뷰정리: 노의현, 장희국, 정정훈* 본 인터뷰는 2017년도에 만들어진 「 한국 '진보적 인권운동'의 역사에 대한 인권활동가 인터뷰 자료집: 1993년부터 2012년까지의 시기를 중심으로」에 수록된 내용입니다.[장애운동과 인권운동과의 관계]Q. 1997년 시작된 에바다 투쟁에서 만들어진 에바다 공대위는 장애운동이 장애운동단체들만의 운동을 벗어나 다양한 사회운동단체들과의 결합을 시작하게 된 계기로 이야기됩니다. 실제로 박래군 활동가 또한 에바다 투쟁을 통한 장애운동과 인권운동의 결합을 인상적으로 이야기하고 있기도 하고요. 박경석 활동가에게도 에바다 투쟁은 다른 운동과의 연대를 만들어냈다는 측면에서 특별한 의미를 찾는 사건으로 기억되시나요? 에바다 투쟁이 이러한 역할을 할 수.. 2022. 5. 2.
장애인 대중 주체의 형성을 위하여: 전장연 박경석 인터뷰 (1/3) 노들장애인야학 박경석 활동가 인터뷰정리: 노의현, 장희국, 정정훈,     * 본 인터뷰는 2017년도에 만들어진  「 한국 '진보적 인권운동'의 역사에 대한 인권활동가 인터뷰 자료집: 1993년부터 2012년까지의 시기를 중심으로」에 수록된 내용입니다.      [인권활동가가 되기까지] Q. 박경석 활동가가 장애운동을 하게 된 과정에 대해서 말씀해주셨으면 합니다.  A. 저는 83년도에 장애를 입었습니다. 대학 내 행글라이더 동아리에서 활동하다가 사고를 당했어요. 제대 후에 복학해서 활동하고 있었죠. 군대는 80년도 해병대에 지원해서 수색대에 있었어요. 어차피 고생할 거 즐겁게, 짜릿한 걸 해보자는 주의여서요. 거기서 낙하산, 스킨스쿠버 등을 배워서 노는 것에 관심이 많았어요. 군대 가기 전에도 가만히.. 2022. 4. 19.
대담 <90년대·포스트모더니즘·여성해방문학론> (3/3) - 대담자임옥희 (여성문화이론연구소 이사)권보드래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교수)이은솔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박사 과정)·일시 : 2022년 1월 6일 오후 2시 ·장소 : 합정 여성문화이론연구소·주최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제1회 한국학페스티벌- 목차 -0) 대담에 들어가며1) 90년대의 페미니즘 담론과 ‘변두리 페미니즘’2) 80년대 말~90년대 초의 대학 풍경과 경희대 영문학과에서의 지적 경험3) 90년대의 여성 잡지 : 「또 하나의 문화」, 「여성과 사회」, 그리고「여/성이론」4) 90년대 포스트모더니즘 담론과 ‘여성 없는 여성주의’의 정치성5) 배수아에서 양귀자까지, 90년대 여성 문학을 기억하는 방식들 6) 「여/성이론」 창간호와 주디스 버틀러의 주체 이론 소개   4) 90년대 포스트모더니.. 2022. 3. 20.
대담 <90년대·포스트모더니즘·여성해방문학론> (2/3) - 대담자임옥희 (여성문화이론연구소 이사)권보드래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교수)이은솔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박사 과정)·일시 : 2022년 1월 6일 오후 2시 ·장소 : 합정 여성문화이론연구소·주최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제1회 한국학페스티벌- 목차 -0) 대담에 들어가며1) 90년대의 페미니즘 담론과 ‘변두리 페미니즘’2) 80년대 말~90년대 초의 대학 풍경과 경희대 영문학과에서의 지적 경험3) 90년대의 여성 잡지 : 「또 하나의 문화」, 「여성과 사회」, 그리고「여/성이론」4) 90년대 포스트모더니즘 담론과 ‘여성 없는 여성주의’의 정치성5) 배수아에서 양귀자까지, 90년대 여성 문학을 기억하는 방식들 6) 「여/성이론」 창간호와 주디스 버틀러의 주체 이론 소개 3) 90년대의 여성 잡지 :.. 2022. 3.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