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준호1 영화에 기입된 역사를 읽어내기 위한 이론적 모색 -<비교의 항해술> 서평(2/2) 영화에 기입된 역사를 읽어내기 위한 이론적 모색(2/2): 하승우, 『비교의 항해술』 서평 조지훈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이어서 계속) 3. 영화 의 특권적 쇼트가 남긴 질문 저자가 이 책에서 펼쳐내는 비교영화 분석, 즉 비교의 항해술에 대한 평가는 독자의 몫이 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글이 후반부는 저자의 영화 해석을 축약해서 다시 언급하기보다는, 앞서 언급한 대로 저자의 '예외적 분석', 다시 말해 4장에서 수행되고 있는 영화 에 대한 심층 분석을 검토해보며, 이를 통해 이 책에서 전개하고 있는 종별성 개념으로 영화 읽기의 어려움에 대해서 환기해보고자 한다. 이를 검토하기 위해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보자. 먼저 특수는 보편과의 관계 속에서 정의된다. 그리고 특수는 보편화의 원리 속에서 다른 특수.. 2023. 4. 1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