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문화 읽기3 10월 21일: 비상과 추락의 다큐멘터리 10월 21일: 비상과 추락의 다큐멘터리 윤지혜 | 미술비평.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세미나 회원 “사회적 격변, 이주 과정, 새로운 세계 질서의 가파른 계층적 격차에 의해 생겨난 단층을 내용 차원에서만이 아니라 형식적 구성의 차원에서도 고려하는 […] 어떤 종류의 다큐멘터리 재고 목록이 있는가?” “이미지가 그 사건들을 보여줄 수 없을지라도 그것은 자체적인 주변화의 흔적을 담고 있다. 그 이미지의 빈곤은 결여가 아니라, 내용보다는 형식에 대한 정보의 추가적인 층위이다. 이 형식은 그 이미지가 어떻게 취급되고 공개되고 전달되거나, 무시되고 검열되고 삭제되는지 보여준다.” 들어가며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아방가르드 세미나에서 히토 슈타이얼의 두 대표 저작 『스크린의 추방자들』 과 『진실의 색: 미술 분야의 다큐멘터리.. 2023. 5. 13. 영화에 기입된 역사를 읽어내기 위한 이론적 모색 -<비교의 항해술> 서평(2/2) 영화에 기입된 역사를 읽어내기 위한 이론적 모색(2/2): 하승우, 『비교의 항해술』 서평 조지훈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이어서 계속) 3. 영화 의 특권적 쇼트가 남긴 질문 저자가 이 책에서 펼쳐내는 비교영화 분석, 즉 비교의 항해술에 대한 평가는 독자의 몫이 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글이 후반부는 저자의 영화 해석을 축약해서 다시 언급하기보다는, 앞서 언급한 대로 저자의 '예외적 분석', 다시 말해 4장에서 수행되고 있는 영화 에 대한 심층 분석을 검토해보며, 이를 통해 이 책에서 전개하고 있는 종별성 개념으로 영화 읽기의 어려움에 대해서 환기해보고자 한다. 이를 검토하기 위해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보자. 먼저 특수는 보편과의 관계 속에서 정의된다. 그리고 특수는 보편화의 원리 속에서 다른 특수.. 2023. 4. 11. "시각문화 읽기"를 시작하며 - <비교의 항해술> 서평(1/2) "시각문화 읽기"를 시작하며 서교연의 동료들과 함께 "시각문화 읽기" 코너를 시작합니다. 영화, 미술, 전시, 연극, 공연, 드라마, 디자인 등등 다양한 시각문화를 다루고 있는 저작, 논문, 비평들에 대한 비판적 서평을 개시하고자 합니다. 더불어 시각문화의 재현 양식과 서사 구성이 어떻게 사회적 테마와 만나고 어긋나는지 명료한 이론적 언어, 그리고 비판적 입장을 견지하는 작품 읽기도 시도해보고자 합니다. 영화에 기입된 역사를 읽어내기 위한 이론적 모색(1/2): 하승우, 『비교의 항해술』 서평 조지훈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이 글은 2022년 10월 2일 서교연에서 발표한 하승우 선생님의 원고에 대한 토론문을 토대로 하고 있으며, 2022년 12월에 출간된 112호에 실린 동명의 서평을 수정·보강한 원고.. 2023. 4. 1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