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물론2 요한나 옥살라 「페미니즘, 자본주의, 생태」 2 「페미니즘, 자본주의, 생태」 2 요한나 옥살라 (Johanna Oksala)백소하 옮김 자연의 자본화 미즈 등의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스트 사상가들은 자본주의, 젠더 억압, 생태 파괴 사이의 체계적 연결을 빚어냄으로써, 자본주의적 수탈의 규모에 관해 강력한 설명을 제공한다. 이러한 설명은 마녀 사냥, 식민주의, 노천광, 성 관광을 동일한 체계적 논리 아래로 끌어모으는 것을 가능하게 하나, 결국 우리가 지리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역사적으로나 이론적으로나 극심히 넓고 이질적인 현상들에 관해 상당히 추상적인 이론화를 하게 된다는 결점을 지닌다. 따라서 나는 이 틀을 더욱 정교하게 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수정과 갱신이 필요하다고 주장할 것이다. 여태까지 논했듯 수탈하고, 값을 깎고, “무임승차”하려는 자본주의의.. 2024. 11. 2. 요한나 옥살라 「페미니즘, 자본주의, 생태」 1 「페미니즘, 자본주의, 생태」 1 요한나 옥살라(Johanna Oksala)백소하 옮김 (캐서린 R. 스팀슨, 길버트 허트 엮음) 읽기 세미나에 참여하신 백소하님께서 요한나 옥살라의 2018년 논문 「페미니즘, 자본주의, 생태」를 번역해 주셨습니다. 의 13장 "자연"을 읽으면서 페미니즘 담론에서 자연이 얼마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지 알게 되었는데, 옥살라의 논문을 통해 마르크스주의-페미니즘-생태의 연쇄를 새롭게 바라볼 수 있게 된 듯합니다. 옥살라는 작년에 같은 제목의 저서(Feminism, Capitalism, and Ecology.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2023)를 출간하기도 했습니다. 이 책을 미처 살펴보지는 못했지만, 그 작업의 시작점이 되는 논문이 아닐까.. 2024. 10. 1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