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장연3

아우성-이미지: 현장 퍼포먼스로서 전장연 스티커 시위 아우성-이미지 현장 퍼포먼스로서 전장연 스티커 시위 정지영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 *이 글은 2023년 11월 5일 wrm에서 진행된 〈디자인 문화 강연/워크숍: 신중한 질문들〉에서 썼습니다. 표면이 찢기고 긁힌 스티커들이 승강장 벽을 덕지덕지 메운다. 지난 21년 12월부터 시작된 장애인 권리 예산 보장 촉구 시위의 흔적이다. 시위는 끝났지만, 4호선 삼각지역 벽을 광활하게 드리운 스티커는 쉽게 떨어지지 않고 한동안 오가는 시민의 눈길을 끌었다. 인터넷 기사를 찾아보면 “전국장애인차별철페연대 스티커 시위”(이하 전장연 스티커 시위)의 위력을 금세 체감할 수 있다. 그러나 인터넷상에서 전장연 스티커 시위는 일반적으로 불법 부착물이나 청소 노동자에게 부담을 가중시키는 비윤리적 행위로 인식되고 있다. 그.. 2023. 11. 14.
무엇이 지하철을 멈추게 하는가, 서지 않는 열차를 멈춰 세운 장애인 1. 무엇이 지하철을 멈추게 하는가, 서지 않는 열차를 멈춰 세운 장애인 2. 2021-22,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 지하철행동_전장연 논평과 시민사회단체 성명 3. 전장연 지하철행동 관련 읽어보면 좋을 글들 1. 무엇이 지하철을 멈추게 하는가, 서지 않는 열차를 멈춰 세운 장애인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출근길 지하철 행동 성명 및 글모음 정우준 | 노동건강연대,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장애인이동권, 그들이 지하철을 세운 이유 언젠가부터 출근길 지하철을 타러 역사에 내려가면 듣는 방송이 있다. "금일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의 '불법시위'로 인해 지하철이 상당시간 지연될 수 있으니 열차 이용에 참고해"달라는 서울교통공사의 방송이다. 2021년 12월 3일 시작된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이하 전장연)의 출근길 .. 2022. 12. 26.
장애인 대중 주체의 형성을 위하여: 전장연 박경석 인터뷰 (3/3) 노들장애인야학 박경석 활동가 인터뷰정리: 노의현, 장희국, 정정훈 * 본 인터뷰는 2017년도에 만들어진 「 한국 '진보적 인권운동'의 역사에 대한 인권활동가 인터뷰 자료집: 1993년부터 2012년까지의 시기를 중심으로」에 수록된 내용입니다. [진보적 장애운동의 원칙과 투쟁] Q. 노들은 1999년 전장협과 한국 DPI와의 통합에 반대하며 독립하던 때부터 현재까지 장애인 대중투쟁, 현장투쟁을 중요시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 명망가들을 통한 로비나 협상보다 현장 중심, 대중 중심의 장애운동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현장투쟁을 중시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 제가 생각하는 것은 ‘장애인들의 역량강화’ 정도인 것 같아요. 장애 당사자들이 열심히 공부하고 배워서 자신의 힘을 만들어야 한다.. 2022. 5. 13.